리드젠사용법

Menu Description

리드젠사용법

광고 기본개념 정리

유채연 2025-07-17 4
제 12장: 시한폭탄을 안고 사는 사람들
CURATOR 메뉴얼 ☞ 구글 애즈(ADS) 광고 기본 개념 정리

구글 애즈(ADS)_광고 기본 개념 정리

 

구글 애즈 광고 기본 개념 정리

온라인 광고를 하다 보면 IMP, CPC, CTR 같은 용어를 많이 보게 됩니다.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원활한 큐레이터 활동을 위해 하나하나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1. 노출수 (IMP, Impression)

광고가 사용자에게 보여진 횟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구글 검색 결과에서 내 광고가 1,000번 나타났다면 노출수 = 1,000이 됩니다.
하지만 노출이 많다고 해서 광고 효과가 높은 것은 아니므로, 다른 지표도 함께 봐야 합니다.


2. 클릭수 (CLK, Click)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횟수입니다.
광고가 1,000번 노출되었는데 50명이 클릭했다면 클릭수 = 50이 됩니다.
클릭이 많을수록 광고가 매력적이거나 타겟팅이 잘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3. 페이지 조회수 (PV, Page View)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특정 페이지를 본 횟수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내 웹사이트에서 3개의 페이지를 본다면 PV = 3이 됩니다.
광고를 클릭하고 여러 페이지를 둘러본다면, 그만큼 관심이 높다는 뜻이겠죠?


4. 랜딩페이지 (Landing Page)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면 처음 도착하는 페이지를 말합니다.
광고의 성과를 높이려면 랜딩페이지의 내용이 광고와 잘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운동화 할인" 광고를 클릭했는데 엉뚱한 페이지로 가면 효과가 떨어지겠죠?


5. 체류시간 (DT, Duration Time)

사용자가 사이트에 머문 시간을 의미합니다.
오래 머물수록 콘텐츠에 관심이 많다는 뜻이므로, PV와 함께 광고 성과를 평가할 때 중요한 지표입니다.


6. 도달률 (Reach)

광고를 본 "사람"의 수나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광고가 10,000번 노출되었지만, 5,000명이 봤다면 도달률은 5,000명입니다.
한 사람이 여러 번 광고를 보더라도, 도달률은 1명으로 계산됩니다.


7. CPC (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광고비로 1,000,000원을 썼고 클릭이 2,000번 발생했다면:

CPC = 1,000,000 ÷ 2,000 = 500원

즉, 한 번 클릭당 500원이 든다는 뜻입니다.


8. CPM (Cost Per Mille, 1,000회 노출당 비용)

광고가 1,000번 노출될 때마다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광고비 500,000원을 썼고 100,000번 노출되었다면:

CPM = (500,000 ÷ 100,000) × 1,000 = 5,000원

즉, 광고가 1,000번 노출될 때마다 5,000원이 든다는 뜻입니다.

참고:
✔ CPM은 주로 배너 광고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광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클릭을 유도하는 광고보다는 "많이 보여주기"가 목표일 때 적합합니다.


9. RPM (Revenue Per Mille, 1,000회 노출당 수익)

광고가 1,000번 노출될 때마다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예를 들어, 광고 수익이 200,000원이고 50,000번 노출되었다면:

RPM = (200,000 ÷ 50,000) × 1,000 = 4,000원

즉, 광고가 1,000번 노출될 때마다 4,000원의 수익이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참고:
✔ RPM은 광고 수익을 측정하는 지표로, 광고 효과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0. CPA (Cost Per Action, 행동당 비용)

사용자가 광고를 보고 특정 행동(구매, 회원가입 등)을 했을 때 드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광고비로 2,000,000원을 썼고 500명이 회원가입을 했다면:

CPA = 2,000,000 ÷ 500 = 4,000원

즉, 한 명이 회원가입할 때마다 4,000원의 비용이 든다는 뜻입니다.

참고:
✔ CPA는 클릭만으로 과금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행동을 해야 비용이 발생합니다.
✔ 전환율이 높을수록 CPA는 낮아지고 광고 효율은 좋아집니다.


11. CPV (Cost Per View, 광고 시청당 비용)

동영상 광고에서 1회 조회당 드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100,000원의 광고비를 사용했는데 5,000명이 광고를 봤다면:

CPV = 100,000 ÷ 5,000 = 20원

즉, 한 사람이 광고를 볼 때마다 20원의 비용이 든다는 뜻입니다.

참고:
✔ CPV 방식은 주로 유튜브 광고에서 사용됩니다.
✔ 보통 15초~30초 이상 광고를 봐야 비용이 발생합니다.


광고 성과 측정 지표

12. CVR (Conversion Rate, 전환율)

광고를 보고 원하는 행동을 한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1,000명이 광고를 클릭했고, 그중 50명이 구매를 했다면:

CVR = (50 ÷ 1,000) × 100 = 5%

즉, 클릭한 사람 중 5%가 구매했다는 의미입니다.

참고:
✔ 전환율이 높을수록 광고 효과가 좋은 것입니다.


13. CTR (Click Through Rate, 클릭률)

광고가 노출된 횟수 대비 클릭된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광고가 10,000번 노출되었고 300번 클릭되었다면:

CTR = (300 ÷ 10,000) × 100 = 3%

즉, 광고를 본 사람 중 3%가 클릭했다는 의미입니다.

참고:
✔ CTR이 높을수록 광고가 효과적이라는 뜻입니다. 

✔ 보통 CTR이 1~3% 사이면 괜찮은 편입니다.

구글 애즈(ADS)_광고 기본 개념 정리

 



© 2024 주식회사 리드젠 & 퍼널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